오늘은 가치투자에 대해서 글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사느냐, 즉 종목 선정에 따라 돈을 벌 수 있는지 여부가 판가름 납니다. 주식투자는 한 회사를 산다는 생각으로 해야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가치투자는 흙 속의 진주를 찾아내어 투자하는 것 입니다. 다시 말해서 매출, 순익, 배당, 자산 등이 양호한데도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주식을 찾아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의 가치는 주가로 나타납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5만 원이면 삼성전자 한주의 기업 가치는 5만 원, LG전자의 주가가 10만 원이면 LG전자 한주의 가치가 10만 원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주가=기업이 발행한 1주의 가치' 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 주가는 투기적인 수요나 공포심에 질린 공급에 의해 기업가치와 무관하게 상승하기도 하고 하락하기도 합니다. 주식에 투자하여 돈을 벌 수 있는 원리는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쌀 때 사두었다가 주가가 기업가치로 회복되거나 기업가치 이상으로 상승할 때 팔아서 차익을 취합니다.
1. 기업가치가 올라가면 주가도 상승한다
주식투자를 할 때는 기업가치를 반드시 따져보아야 합니다. 기업가치가 올라가면 주가도 상승하기 때문이죠. 어떤 회사의 기업가치가 얼마나 되는가, 장래 기업가치가 올라갈 것인가 또는 떨어질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은 투자에 앞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2. 기업가치보다 쌀 때 사고, 기업가치보다 비쌀 때 판다
주식투자는 주가가 기업가치와 무관하게 급등하거나 급락하여 기업가치와 주가 사이의 갭이 크게 벌어졌을 때 그 차이를 이익으로 취하는 것입니다. 값이 쌀 때 사고 비쌀 때 파는 원론적인 투자방법이고 누구나 다 그렇게 생각하실 겁니다.
주식투자 핵심은 바로 이거죠. 오랫동안 많은 투자자들이 비법을 찾아다녔지만 종국에 가서 돌아오는 것은 이 원리인 거죠.
기업은 살아 있는 유기체와 같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며 발전하기도 하고 퇴보하기도 합니다. 주가는 대체로 기업가치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때로는 기업가치에 비해 훨씬 큰 폭으로 오르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합니다. 시간적으로도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결국 주가는 기업가치와 일치하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업가치가 상승하는 회사에 투자한 경우에는 매매시점이 잘못되어 일시적으로 고가에 매수했다 하더라도 장기 투자하면 매입가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가치가 하락하는 회사에 투자한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하는 폭에 비해서 하락하는 폭이 크기 때문에 손실을 볼 확률이 높고, 장기투자를 할 경우 손실을 더욱 키우게 됩니다.
특히 미래 기업가치가 불확실한 회사에 투자하는 것은 그만큼 위험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큰 폭으로 움직이는 이유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 때문입니다. 증권시장에 상장된 주식 수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기업공개, 유·무상 증자, 주식배당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급과 증시에 유입되는 자금의 양에 따라 시장에서 주가 쉬으는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합니다.
증권시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시중의 유동자금이 과도하게 유입될 때는 버블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버블은 1986~1988년 금융주, 1999~2000년 바이오, 닷컴 등의 파동 등이며 이때는 탐욕이 지배하여 기업의 가치를 무시한 채 주가가 과도하게 급등했습니다.
반대로 IMF 금융위기(1997~1998년), 세계적 서브프라임 금융위기(2008년) 그리고 코로나 팬데믹(2020년) 때와 같이 모든 투자자들이 추가 하락에 대한 공포로 보유주식을 투매할 때는 주가가 기업의 가치 이하로 폭락하기도 합니다.
인간들의 심리에는 탐욕과 공포가 내재합니다. 다수의 투자자가 집단 심리에 빠지면 합리적인 판단기준을 잊어버리게 되고, 그 결과 주가는 기업의 가치와 상관없이 비이성적으로 급등하거나 폭락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비이상적인 주가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내재가치로 돌아오기 마련입니다.
다음번엔 저평가주를 찾는방법(ROE, EPS, PER, EV/EBITDA, PBR)에 대해 적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기초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차트분석 이것만 알아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박스권매매) (0) | 2022.01.09 |
---|---|
저평가주를 고르는 4가지 방법! (0) | 2022.01.07 |
이동평균선 이해 2탄 이격거리 (0) | 2022.01.05 |
주식 차트분석 기본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1.04 |
주식의 본질은 무엇일까?(feat. Buy,Sell) (0) | 2022.01.03 |
댓글